개인정보 233

모두투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 늑장 공지와 무단 보관 논란

[단독] 모두투어, 왜 이러나… 개인정보 유출 늑장 공지에 보관기간 넘긴 고객자료도 보유 [단독] 모두투어, 왜 이러나… 개인정보 유출 늑장 공지에 보관기간 넘긴 고객자료도 보유모두투어가 홈페이지 해킹으로 인한 이용자 개인정보 유출을 통지하는 과정에서 일부 관련 법령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해킹 사실을 인지하고도 3달 동안 이를 이용자에 알리지 않아 2www.ngetnews.com 개요모두투어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해킹 사실 인지 후 3개월이 지나서야 공지됨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즉시 공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공지가 늦어지며, 일부 고객 정보 무단 보관 문제도 함께 발생해킹 및 유출된 개인정보 항목유출된 정보: 한글 및 영문 이름, 아이디, 생년월일, 핸드폰 번호, CI(연계정보), DI..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개인정보 유출 사고

135만 명 개인정보 털린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과징금 4억 8천만 원 135만 명 개인정보 털린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과징금 4억 8천만 원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5일 제16회 전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의결했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지난 1월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해킹으로 인해 '사회복지 자원봉사 정보관리시news.sbs.co.kr 135만 명 개인정보 유출 사건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운영하는 사회복지 자원봉사 정보관리시스템(VMS) 에서 135만 명의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인해 유출됨유출된 정보에는 아이디, 이름, 이메일, 생년월일, 성별, 주소, 연락처, 직업, 학교 정보, 자격증 보유 여부 등이 포함되어 총 1,300만 건에 달하는 정보가 외부로 유출됨주요 보안 취약점비밀번호 변경 절차 부실..

데이팅 앱 '아만다'의 고객 사진 도용과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관련 보안 사고

데이팅 앱이 고객 사진 도용…개인정보위 "형사고발" - 머니투데이 데이팅 앱이 고객 사진 도용…개인정보위 "형사고발" - 머니투데이아만다 고발·과징금 의결…미끼계정 운영 적발자원봉사시스템 135만명 유출도 억대 과징금고객의 프로필 사진을 도용해 미끼계정을 운영한 데이팅 앱 '아만다' 운영사를 상대로 개인정보보호news.mt.co.kr 데이팅 앱 '아만다'의 고객 사진 도용테크랩스는 데이팅 앱 아만다와 너랑나랑을 운영하며, 실제 회원의 프로필 사진을 도용해 가짜 계정 276개를 생성함한국 회원의 사진은 대만 앱 서비스에, 대만 회원의 사진은 한국 앱 서비스에 도용됨이들 가짜 계정은 2021년 11월까지 유지되었으며, 일부는 실제 회원과 매칭된 사실이 드러남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억 2400만 원의 과징금 부..

개인정보위, 월드코인에 홍채정보 불법수집 과징금 부과

개인정보위, '홍채정보 불법수집' 월드코인에 11억 과징금 개인정보위, '홍채정보 불법수집' 월드코인에 11억 과징금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합법적인 처리 근거 없이 국내 고객의 홍채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국외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월드코인’에 십억원대의 과징금을 부과했다.www.etnews.com 개요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월드코인이 홍채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고 국외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이에 따라 11억 4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명령 및 개선 권고를 내림홍채정보 불법 수집 및 처리 위반월드코인 재단은 홍채 촬영 후 홍채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수집·이용 목적 및 보유·이용 기간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음홍채코드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민감정보로..

2024.09.26. IT&보안 기사

개별기사 요역은 별도로 게시 예정국내기사[단독] 모두투어, 왜 이러나… 개인정보 유출 늑장 공지에 보관기간 넘긴 고객자료도 보유 [단독] 모두투어, 왜 이러나… 개인정보 유출 늑장 공지에 보관기간 넘긴 고객자료도 보유모두투어가 홈페이지 해킹으로 인한 이용자 개인정보 유출을 통지하는 과정에서 일부 관련 법령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해킹 사실을 인지하고도 3달 동안 이를 이용자에 알리지 않아 2www.ngetnews.com 국가정보원-과기정통부, ‘국가 SW 공급망 보안정책’ 마련 위한 태스크포스 가동 국가정보원-과기정통부, ‘국가 SW 공급망 보안정책’ 마련 위한 태스크포스 가동국가정보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25일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판교캠퍼스에서 국가안보실 등 관계기관 및 산·학·연 전문가 ..

2024.09.25. IT&보안 기사

개별기사 요역은 별도로 게시 예정국내기사[단독] 과기부 12개 산하기관 新해킹 취약점 50건 발견 … 해커에 무방비 [단독] 과기부 12개 산하기관 新해킹 취약점 50건 발견 … 해커에 무방비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2개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한 블라인드 해킹 테스트에서 총 50건의 신규 취약점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테스트 과정이어서 망정이지 실제 해킹을 당했다면 공격자의biz.newdaily.co.kr 통일부 대상 사이버 공격, 올해만 2,313건... 2년여 만에 약 200% 급증 통일부 대상 사이버 공격, 올해만 2,313건... 2년여 만에 약 200% 급증남북 분단과 휴전 관계에 놓여 있는 우리나라에서 통일부와 그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올해 들어 8월까지만 2,313건으로 ..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대한 보안 우려

학습효과 의문·보안도 미비…AI 디지털 교과서[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은㊦]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의 본질을 헤아리는 것이다.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 가치는 자기주도성, 창의와 혁신, 포용성과 시민성이다. 교과서만 디" data-og-host="www.junggi.co.kr" data-og-source-url="https://www.junggi.co.kr/mobile/view.html?no=32841" data-og-url="https://ww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32841"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mLdSG/hyW6xzK49r/mRTLABKi4Sg7SN1U3ccVc1/img...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2024년도 내정보지킴이 캠페인 시작

개인정보위, 2024년도 내정보지킴이 캠페인 시작... “개인정보 췍” 개인정보위, 2024년도 내정보지킴이 캠페인 시작... “개인정보 췍”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제4회 개인정보 보호의 날을 맞이해, 9월 23일부터 10월 4일까지 2주간 ‘내정보 지킴이 캠페인’을 진행한다.www.boannews.com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 는 2024년 내정보지킴이 캠페인을 9월 23일부터 10월 4일까지 2주간 진행캠페인 슬로건은 "공유할 때 √, 동의할 때 √, 개인정보 췍"으로, 개인정보의 중요성과 보호를 위한 실천 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주요 활동전용 누리집 개설IP 카메라, 학원 출결, 배달·주문, 광고 동의, 공용 컴퓨터, 스미싱·스팸, 게임, 누리소통망(SN..

달라지는 개인정보 동의 제도

[스타트업 법률 가이드] 달라지는 개인정보 동의 제도 : 네이트 뉴스 [스타트업 법률 가이드] 달라지는 개인정보 동의 제도 : 네이트 뉴스한눈에 보는 오늘 : 칼럼 - 뉴스 : 프라임경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자신의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헌법적 권리news.nate.com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중요성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자신의 개인정보가 어떻게, 언제, 누구에게 제공되고 이용될지 결정하는 헌법적 권리개인정보 보호법은 사전 동의를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행사의 핵심으로 규정함기존 동의 제도의 한계형식적 동의개인정보처리자가 사전 고지의무를 충실히 수행하더라도, 정보주체가 형식적 동의에 그치는 경우가 많음법적 면죄부형식적 동의만으로도 개..

2024.09.24. IT&보안 기사

개별기사 요역은 별도로 게시 예정국내기사[스타트업 법률 가이드] 달라지는 개인정보 동의 제도 : 네이트 뉴스 [스타트업 법률 가이드] 달라지는 개인정보 동의 제도 : 네이트 뉴스한눈에 보는 오늘 : 칼럼 - 뉴스 : 프라임경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은 자신의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헌법적 권리news.nate.com 대규모유통업법·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공청회, 규율 강화 vs. 규율 완화 대규모유통업법·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 공청회, 규율 강화 vs. 규율 완화티몬·위메프 사태 재발방지 제도 개선안인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과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관한 공청회에서 “규율을 강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