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기 뿌리 뽑자' 은행권 보안 솔루션 고도화 움직임
- 비대면 금융사기 방지 강화
- 은행들은 비대면 금융사기 방지를 위해 보안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탐지 및 예방 기술을 강화
- 최근 주요 은행들이 금융사기 탐지를 위한 신규 솔루션 도입 및 기존 시스템 개선 중
- 신한은행의 보안 강화 사례
- 신한SOL뱅크 앱에 신규 악성앱 탐지 솔루션 도입 예정
- 악성앱을 통한 개인정보 탈취, 스미싱, 보이스피싱 방지 목표
- 95% 이상의 탐지 정확도를 가진 솔루션 제공
-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FDS) 개선 및 외국인 신분증 판별 솔루션 도입
- CES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금융사기 탐지 기술 소개
- 신한SOL뱅크 앱에 신규 악성앱 탐지 솔루션 도입 예정
- 다른 주요 은행들의 대응
- KB국민은행
- '메시지 모아보기' 서비스 제공
- 은행 발송 메시지와 카카오톡 내용을 통합 조회해 사칭 메시지 걸러내는 기능
- '메시지 모아보기' 서비스 제공
- 우리은행
- '뉴 우리WON뱅킹' 출시
- 더치트 플랫폼과 협업해 상대 계좌의 사기 이력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 '뉴 우리WON뱅킹' 출시
- 기업은행
- 모바일뱅킹에 사기의심계좌 자동 검증 서비스 시행
- 별도 신청 없이 수취계좌의 사기신고 이력을 자동 조회
- 모바일뱅킹에 사기의심계좌 자동 검증 서비스 시행
- KB국민은행
- 최근 발견된 금융사기 유형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불법스팸대응센터 사칭 사례
- 통신사 이용 정지를 미끼로 악성앱 설치 유도
- 연말정산 시즌을 노린 홈택스 위장 앱 및 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 탈취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불법스팸대응센터 사칭 사례
- 결론
- 금융사기가 기술 발전에 따라 고도화되면서 은행권은 보다 정교한 보안 솔루션과 사용자 보호 기능을 도입해야 함
- 사용자도 앱 설치 전 출처를 철저히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메시지나 링크를 열지 않는 등 스스로의 보안 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금융권과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사기 방지 플랫폼과 탐지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함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OS 생태계를 위협하는 밴시스틸러의 등장과 대응 방안 (0) | 2025.01.21 |
---|---|
2025년 AI와 사이버보안 주요 과제 7가지 (0) | 2025.01.21 |
공항·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 보안 인증 IP카메라 의무화 (1) | 2025.01.21 |
카카오맵의 개인정보보호 이슈와 법적 논란 (0) | 2025.01.21 |
딥페이크 등 합성 콘텐츠 삭제 요구 권리 도입 및 2025년 개인정보위 주요 계획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