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전략에 “압박감, 위협, 압도감” 느끼는 CISO
- 생성형 AI 도입의 기회와 위험
- 기업 경영진은 생성형 AI의 잠재력과 투자수익률(ROI)을 강조하며, 보안 위험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도입을 추진
- 그러나 생성형 AI는 데이터 유출, 보안 우회, 민감한 정보 공개 등의 심각한 보안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 CISO의 심리적 부담
- 기업 CISO의 절반 이상이 생성형 AI로 인해 압박감, 위협, 압도감을 느끼고 있음
- 새로운 AI 기술이 가져오는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심리적, 기술적 어려움을 겪는 상황
- 생성형 AI의 고유 위험 요소
- 생성형 AI는 기존 기술보다 예측 불가능하고, 배포 이후에도 동적 변화 가능
- 주요 위험 요소로는 프롬프트 인젝션, 데이터 오염(포이즈닝), 기밀 정보 유출 등이 있음
- 악성 코드 삽입, 데이터 무단 접근, PII(개인식별정보) 추출 사례가 이미 관찰됨
- SaaS 및 오픈소스 LLM의 확산
- SaaS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AI 모델이 공격 표면을 확대
- 오픈소스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LLM(대규모 언어 모델)이 보안 위험을 증가시킴
- 보안 전략 부재와 개선 방안
- 많은 기업이 생성형 AI 도입 시 보안 전략을 간과하며, 기능적 요구에 우선순위를 둠
- CISO는 생성형 AI의 잠재적 악용 사례를 연구하고, 관련 보안 프레임워크와 평가 기준을 마련해야 함
- 결론
- 생성형 AI는 비즈니스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새로운 보안 문제를 야기함
- 기업은 CISO와 보안 팀에게 적절한 자원과 지원을 제공하며, AI 기술과 관련된 보안 가이드라인을 조기에 수립해야 함
- 새로운 기술 도입 시 위험 평가와 안전한 배포를 위한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 신규 지정 및 SaaS 활용 규제 완화 (0) | 2025.01.24 |
---|---|
소비자의 AI 활용 신뢰 부족과 기업의 윤리적 과제 (0) | 2025.01.24 |
데이터센터 운영의 복잡성 증가와 자동화의 중요성 (0) | 2025.01.24 |
인공지능 기본법 시행을 위한 하위법령 정비단 출범 (0) | 2025.01.24 |
프록시재킹 공격 주의보: 디지털펄스 프록시웨어 사례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