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인공지능 기본법 시행을 위한 하위법령 정비단 출범

Kant Jo 2025. 1. 24. 08:30

인공지능 기본법을 위한 ‘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인공지능 기본법을 위한 ‘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인공지능 기본법을 위한 ‘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관련 보도자료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용량 첨부파일은 바로보기가 지원되지 않으니, - 정책

www.korea.kr

 

과기정통부, AI기본法 ‘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과기정통부, AI기본法 ‘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AI기본법) 하위법령 정비단을 출범시킨다고 15일 밝혔다.

www.boannews.com

 

AI기본법 시행 첫걸음 나선 정부…‘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 아이티데일리

 

AI기본법 시행 첫걸음 나선 정부…‘하위법령 정비단’ 본격 출범 - 아이티데일리

[아이티데일리] 정부가 오는 2026년 1월 ‘인공지능(AI)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이하 AI 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하위법령 마련에 착수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기본법 하위

www.itdaily.kr

 

  • 인공지능 기본법 개요
    • 2020년 7월 발의, 22대 국회 본회의 통과 (2024년 12월)
    • 유럽연합(EU) 이후 세계 두 번째로 제정된 인공지능 관련 법안
    • 민관 협력 거버넌스를 정립하고 AI 산업 육성 및 위험 예방을 목표로 함
    • 2026년 1월 시행 예정
  • 하위법령 정비단 구성과 운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도
    • 국가AI위원회, 산업계, 학계, 법조계 전문가 및 법제처 참여
    • 세부 시행령과 가이드라인 초안 마련 및 의견 수렴
    • 3개의 워킹그룹으로 구성
      • 워킹그룹1: 안전성 확보 의무 검토
      • 워킹그룹2: 영향평가 및 투명성 확보
      • 워킹그룹3: 고영향 AI 기준과 사업자 책무 검토
  • 주요 가이드라인과 고시
    • 안전성 확보 의무 고시 (제32조)
    • 투명성 확보 의무 가이드라인 (제31조)
    • 영향평가 가이드라인 (제35조)
    • 고영향 AI 기준 및 예시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33조)
    • 고영향 AI 사업자 책무 가이드라인 (제34조)
  • 고영향 AI에 대한 구체화
    • 에너지, 의료, 원자력, 교통, 공공서비스 등 분야별 가이드라인 마련
    • 국가AI위원회 중심으로 산학연 전문가와 관계 부처가 참여하여 초안 작성
    • 다양한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법적 적용의 명확성 확보
  • 결론
    • 기업 예측 가능성 제고 및 민관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법적 기반 마련
    • 하위법령 및 가이드라인 구체화를 통해 AI G3 강국으로의 도약 기반 마련
    • 혁신과 안전을 조화롭게 반영한 정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