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원행정처 개인정보 유출 제재

Kant Jo 2025. 1. 20. 06:29

개인정보위, 주민등록번호 유출과 안전조치 의무 위반한 법원행정처 제재

 

개인정보위, 주민등록번호 유출과 안전조치 의무 위반한 법원행정처 제재

개인정보위, 주민등록번호 유출과 안전조치 의무 위반한 법원행정처 제재-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 유출과 안전조치 미흡에 따라, 과징금 2억 700만 원과 과태료 600만 원 부 - 정책브리핑 | 브

www.korea.kr

 

개인정보 털린 법원행정처... 2억700만원 과징금 폭탄

 

개인정보 털린 법원행정처... 2억700만원 과징금 폭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개인정보보호 법규 위반 ‘법원행정처’에 총 2억 700만원 과징금과 600만원 과태료를 각각 부과하고 개선권고키로 의결했다.

www.boannews.com

 

北 해킹조직에 개인정보 유출한 법원행정처 과징금 2억…공공기관 제재 강화해야

 

北 해킹조직에 개인정보 유출한 법원행정처 과징금 2억…공공기관 제재 강화해야

북한 해킹그룹 '라자루스'의 해킹 공격을 받아 1만7000여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법원행정처가 약 2억원의 과징금을 물게 됐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 8일 2025년 제1회 전체회의를 열고, 개

www.etnews.com

 

  • 사건 개요
    • 법원행정처, 내부망외부망포트 개방으로 해커 침입
    • 1,014GB 규모의 소송 문서 유출
    • 유출된 개인정보는 17,998명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 등 포함
  • 유출 경로 및 원인
    • 포트 개방: 외부망과 내부망 간 접속 가능, 해커의 침입 경로 제공
    • 전자소송 서버: 민감한 소송 문서 암호화 미비
    • 보안 미흡: 초기 비밀번호 사용 및 보안 프로그램 미설치
  • 법적 처분
    • 과징금: 2억 7,000만 원
    • 과태료: 600만 원
    • 개선 권고: 보안 강화 및 개인정보 보호조치 수준 향상 권고
  • 법원행정처의 대응 미흡
    • 2023년 2월 침해사고 탐지, 4월 개인정보 유출 정황 인지
    • 12월에야 유출 신고 및 공지
  • 보안 권고
    • 보안 강화: 네트워크 포트 관리 및 암호화 조치 강화
    • 비밀번호 관리: 기본 비밀번호 사용 금지, 보안 프로그램 설치 의무화
    • 모니터링 강화: 외부 불법 접근 시도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