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2024년 9월 악성코드 동향: 트로이목마와 바이러스 주요 유형

Kant Jo 2024. 11. 18. 09:24

9월 유형별 악성코드 통계, 트로이목마와 바이러스 대세 이어가

 

9월 유형별 악성코드 통계, 트로이목마와 바이러스 대세 이어가

9월 한 달 사이에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유형별로 비교했을 때 트로이목마(Trojan)가 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바이러스(Virus)가 12%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www.boannews.com

 

  • 악성코드 유형별 비율
    • 9월에 트로이목마(Trojan)가 전체 악성코드의 4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 기록
    • 바이러스(Virus)가 12%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해, 트로이목마와 바이러스의 영향력이 지속됨
  • 주요 악성코드 캠페인
    • WailingCrab: 검색 결과 스푸핑을 통해 SEO Poisoning 방식으로 배포
    • 정상 파일로 위장한 악성 설치 파일을 제공하며, Git 저장소와 정상 소프트웨어 이름을 악용
    • 최초 접근 브로커(IAB)와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기술을 회피하는 특성
    • KTLVdoor 백도어: 시스템 유틸리티를 사칭한 백도어
      • Go 언어로 개발되어 윈도와 리눅스 시스템 모두 공격 가능
      • C&C 서버와 암호화된 통신으로 명령 실행, 파일 다운로드, 원격 포트 스캔 수행
      • 중국 해킹그룹 어스루스카(Earth Lusca)와 연관 가능성 제기
    • Hadooken: 리눅스 환경에서 암호화폐 채굴 및 DDoS 공격 수행
      • Oracle Weblogic 서버를 표적으로 삼으며, 크론 작업을 생성해 지속적으로 채굴
      • 방어 회피를 위해 아티팩트를 삭제하는 기능 포함
    • Necro: 안드로이드 앱을 가장한 악성코드
      • 스테가노그래피 기법으로 이미지 파일에 페이로드 숨김
      • C&C 서버에서 추가 DEX 파일을 다운로드하며, 사용자의 기기에 유료 서비스 구독을 유도
    • PDiddySploit: 유명인 스캔들 파일로 위장해 유포
      • PySilon RAT의 변형으로 원격 명령 실행, 키로깅, 화면 녹화, 민감 정보 탈취 기능 수행
      • SNS에서 유명인 스캔들 관련 게시물을 이용해 악성코드 다운로드 유도
  • 보안 권고사항
    • F5 BIG-IP 사용자는 쿠키 암호화를 활성화하고 AES-192 암호화 설정 권장
    •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 사용으로 악성코드 설치 방지 및 출처 확인 권고
    • 다중 인증(MFA)정기적 패치로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분할로 주요 시스템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