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접근제어 ①] 인증·권한 탈취 막고 법령·규제 준수 돕고 - 아이티데일리
[DB접근제어 ①] 인증·권한 탈취 막고 법령·규제 준수 돕고 - 아이티데일리
[아이티데일리] 데이터베이스(DB) 접근제어 시장이 새로운 돌파구 마련을 위해 힘쓰고 있다. 초기 개인정보보호법을 비롯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규제 준수) 이슈를 타고 커졌던 시장은 신규
www.itdaily.kr
[DB접근제어 ②] 클라우드 전환과 영역 확대로 돌파구 모색 - 아이티데일리
[DB접근제어 ②] 클라우드 전환과 영역 확대로 돌파구 모색 - 아이티데일리
[아이티데일리] 데이터베이스(DB) 접근제어 시장이 새로운 돌파구 마련을 위해 힘쓰고 있다. 초기 개인정보보호법을 비롯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규제 준수) 이슈를 타고 커졌던 시장은 신규
www.itdaily.kr
[DB접근제어 ③] 주요 DB접근제어 업체별 사업 동향 - 아이티데일리
[DB접근제어 ③] 주요 DB접근제어 업체별 사업 동향 - 아이티데일리
[아이티데일리] 데이터베이스(DB) 접근제어 시장이 새로운 돌파구 마련을 위해 힘쓰고 있다. 초기 개인정보보호법을 비롯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규제 준수) 이슈를 타고 커졌던 시장은 신규
www.itdaily.kr
- DB접근제어의 필요성과 구성 요소
- DB접근제어는 사용자 인증, 접근 통제, 권한 관리, 로깅 기능을 통해 DB 불법 접근을 차단
- 인증은 다중 인증(MFA)을 포함하며, 접근 통제는 IP, 기기, 위치 기반 탐지 기능 포함
- 권한 관리는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 사용자별 작업 권한을 세분화
- 로깅은 쿼리 실행부터 작업 기록을 보관, 이상행위 탐지 지원
- 컴플라이언스 기반 수요 확대
- 개인정보보호법, 전자금융감독규정, ISMS 등 법·제도 요구사항 충족을 위해 도입 확대
-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 제5조~8조 기준에서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 로그 보관 명시
- 금융권은 5년간 로그 보존 요구로 접근제어 솔루션 활용 빈도 높음
- 시장 정체와 클라우드 전환 대응
- 2010년대 후반 이후 정체기 진입, 중소기업 도입 저조
- 클라우드 DBMS 전환 가속화에 따라 클라우드 최적화 솔루션 수요 증가
- AWS, Azure, GCP, 네이버클라우드 등 CSP 마켓플레이스에 솔루션 등록 증가
- Data Lake 보안 수요 대응 위한 정책 기반 접근제어 요구 확산
- 접근제어 기술 고도화 및 확장
- 시스템 접근제어 및 계정관리 통합 트렌드 형성
- 통합 UI 및 동일 정책 적용으로 운영 효율화
- 제로 트러스트 기반 최소 권한 정책과 MFA 인증 확산
- 양자내성암호,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보안 기능 강화
- 주요 기업별 전략
- 피앤피시큐어: DB세이퍼 기반 ‘유니파이드 IAM’, 안면인증 솔루션 ‘페이스락커’로 확장
- 신시웨이: 고성능 리포지터리 기반 ‘페트라’, SaaS 전환 및 블록체인 융합 추진
- 넷앤드: 하이웨어 기반 7개 제품군 통합 접근제어 및 계정관리 제공, DBIAM 확장
- 웨어밸리: 개발도구 오렌지 기반 DB솔루션 ‘샤크라맥스 v4’, 자체 DB엔진 페타SQL 활용
- 결론
- DB접근제어는 컴플라이언스 기반 필수 보안 요소로 자리매김
- 클라우드 전환, 통합 보안, AI 도입에 따른 정책 정밀화가 차세대 경쟁력의 핵심
- 업체들은 계정관리, 시스템통제, 데이터 흐름 보안 등으로 포트폴리오 확대 필요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 산업 구조 변화 분석 (0) | 2025.03.31 |
---|---|
사이버 보안 등급 결합한 서드파티 위험관리 플랫폼의 보안 시사점 (0) | 2025.03.31 |
식품·IT·통신·산업 부문, 심각한 보안 사고 증가 (0) | 2025.03.31 |
감사 결과 공개의 개인정보 침해 문제와 행정 투명성 개선 필요성 (0) | 2025.03.31 |
한국인 개인정보 4억건 다크웹 유출, 크리덴셜 스터핑 및 2차 피해 확산 우려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