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개인정보 전문가 설문조사, AI 활성화를 위한 현행법 개선 필요성

Kant Jo 2025. 2. 23. 09:20

개인정보 전문가 2명 중 1명, “AI 활성화는 현행법 완화에 달려”

 

개인정보 전문가 2명 중 1명, “AI 활성화는 현행법 완화에 달려”

개인정보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보·데이터와 관련된 현행법 규제가 완화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AI 학습 등 데이터 활용 확산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이

www.etnews.com

 

  • 조사 개요
    • 개인정보전문가협회 주관, 112명의 개인정보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실시
    • 조사 대상: 금융, 방송, 통신, IT, 제조 등 산업계 인사(63.4%), 학계, 공공기관, 시민단체 전문가 포함
    • 응답자 중 40% 이상이 개인정보보호 및 정보보안 분야 10년 이상 경력 보유
  • 현행 개인정보법제에 대한 평가
    • 응답자의 66%가 현행법이 개인정보 보호에 치중돼 있다고 평가
    • 보호와 활용의 균형을 이룬다는 응답은 29.5%, 활용 중심은 4.5%에 불과
    • AI 기술 확산으로 데이터 활용 필요성이 증가했음에도 보호 중심 인식이 11%P 상승
  • AI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 필요성 및 우선 과제
    • 현행법 규제 완화 필요성: 47.3% 응답자가 규제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지목
    • 기타 중요 개선 과제
      • 규제기관의 명확한 가이드 제시(32.1%)
      • 공개된 개인정보의 활용 확대(28.6%)
      • 개인정보 규제 샌드박스 제도 도입(19.6%)
      • 비정형 데이터의 가명처리 기술 표준 확립(14.3%)
      • 사전 적정성 검토 제도의 적극 운영(12.5%)
      • 공공 데이터 활용 확대(10.7%)
  • 개인정보 활용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
    • 개인정보 개념범위 현실화 및 합리화
    • 계약, 추가적 이용·제공 근거 강화로 개인정보 처리 범위 확대
    • 사전 동의 중심의 법·제도 유연화 필요
    • 망분리 규제 등 일률적 안전조치 의무의 합리적 적용
  • 개인정보 관련 주요 규제 장애 요소
    • 개인정보·위치정보·신용정보 등 중복 규제 문제
    • 과도하게 넓은 개인정보 범위 정의로 인한 기업의 법적 부담 증가
    • 엄격한 동의 중심 처리 요건으로 인한 데이터 활용 제한
    • 획일적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으로 인한 기업 운영 제약
  • 결론
    • AI 시대에 맞는 개인정보 법제 규율 체계 전환 필요
    •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의 균형 확보를 위한 실질적 제도 개선 시급
    • 산업계와 공공기관의 협력을 통한 현실적 가이드라인 마련 요구
    • 개인정보 처리 시 투명성 확보와 사용자 권리 보호 병행 중요
    • 글로벌 AI 서비스와의 경쟁력을 위해 유연한 규제 체계 도입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