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금융보안원, 은행앱 위장 악성앱 심층 분석 보고서 공개

Kant Jo 2025. 1. 31. 08:20

금융보안원, 은행앱 위장 악성앱을 심층 분석한 인텔리전스 보고서 공개 : 네이트 뉴스

 

금융보안원, 은행앱 위장 악성앱을 심층 분석한 인텔리전스 보고서 공개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종합 - 뉴스 : [사진: 금융보안원][디지털투데이 강진규 기자] 금융보안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대출 광고 등을 매개로 유포되는 금융·백신 앱 위장 악성앱을 2년 간 추

news.nate.com

 

  • 악성앱 확산 경로 분석
    • SNS 대출 광고유튜브 광고 등을 통해 악성앱 유포
    • 금융앱 또는 백신앱으로 위장하여 피해자를 속이는 방식 활용
    • 2년간 금융·백신 앱을 위장한 악성앱을 추적·분석한 결과 보고서 발표
  • 악성앱 감염 사례 분석
    • 직장인 A씨, SNS 저금리 대출 광고에 속아 상담 신청
    • 안내 전화를 통해 오픈 채팅방 접속 후 신분증 및 주민등록등본 제출
    • 대출앱 설치 URL 제공받아 앱 설치 후 악성앱에 감염
    • 피해자의 개인정보 탈취신용등급 조작 사기 발생
    • 피해자가 금융회사 대표번호로부터 선입금 요구를 받는 방식의 보이스피싱 발생
  • 악성앱 피해의 심각성
    • 피해자 명의 도용 가능
    • 피해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스미싱 문자 발송 가능
    • 2차 피해로 추가적인 금융사기 위험 증가
    • 보이스피싱 조직의 공격 방식이 정교해지고 다변화
  • 금융보안원의 대응 및 보안 강화 노력
    • 금융보안원은 2016년부터 금융권 대상 사이버위협을 심층 분석
    • 최신 금융범죄 기법을 보고서로 제작하여 금융회사 및 유관기관에 제공
    • 보고서를 금융보안원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에도 공개
    • 악성앱 유포 및 공격 과정을 상세 분석하여 대응 전략 마련
  • 보안 권고
    • 출처가 불분명한 금융앱 및 백신앱 설치 금지
    • SNS 및 유튜브 대출 광고에 속지 않도록 주의
    • 대출 상담 시 오픈 채팅방을 이용하지 말고 공식 경로 이용
    • 금융회사 상담 시 대표번호 직접 전화하여 확인
    • 백신 프로그램 설치정기적인 보안 점검 필수
    • 개인정보 입력 전 URL 및 앱의 진위 여부 반드시 확인
  • 결론
    • 보이스피싱 악성앱은 누구나 감염될 수 있음
    • 금융소비자는 불분명한 앱 설치를 지양하고 보안 습관을 철저히 해야 함
    • 금융보안원은 최신 보안 위협 분석을 지속하며 금융기관과 협력하여 피해 방지에 주력할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