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이 꼽은 올해 보안 트렌드…“CCTV 보안 강화·AI CCTV 증가”
- CCTV 보안 강화의 필요성
- IP 카메라 해킹 사고 증가로 CCTV 보안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
- 2024년 국민 사생활 영상 4500여 건 무단 유포 사례 발생
-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5%가 CCTV 해킹 범죄 증가에 동의
- 예방책으로 보안 인증(TTA)을 받은 CCTV 설치(57%)와 검증된 업체 제품 사용(32%)이 주요 대안으로 제시
- 정부는 IP 카메라 제조 시 높은 수준의 비밀번호 설정 기능 의무화 및 다중이용시설에서 인증된 제품 사용을 법으로 규정
- IP 카메라 해킹 사고 증가로 CCTV 보안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
- AI CCTV의 확대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AI CCTV 및 IoT 센서 도입 증가
-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까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 2024년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 추정액은 약 18조6200억 원
- AI CCTV를 통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이 주목받으며 안전 관리를 강화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AI CCTV 및 IoT 센서 도입 증가
- 주거지 보안 수요 증가
- 묻지마 폭행 및 주거지 강력범죄 증가로 가정 보안 수요 확대
- 전체 강력 범죄의 26%, 살인의 62.5%가 주거 시설에서 발생
- 선호하는 보안 솔루션: 현관 앞 CCTV(59%), 무인경비 시스템(26%), 실내용 CCTV(10%)
- 가정 보안 솔루션은 AI CCTV와 IoT 센서를 활용해 진화
- 묻지마 폭행 및 주거지 강력범죄 증가로 가정 보안 수요 확대
- 얼굴인식 기술과 보안
- 얼굴인식 기술 대중화로 출입 통제, 결제 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확대
- 인천공항의 얼굴인식 출국 서비스로 대기 시간 40분 단축
- K팝 공연장에서도 관객 입장 편의를 위한 얼굴인식 도입
- 위조 얼굴 공격 증가로 보안 강화 필요
- 위조 얼굴 공격 매년 10% 이상 증가
- 에스원은 지속적인 기술 업그레이드 강조
- 얼굴인식 기술 대중화로 출입 통제, 결제 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확대
- 결론
- CCTV 보안 강화와 AI 기술 활용이 올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전망
- 법적 규제와 기술 발전이 병행되어 개인 및 산업의 안전성을 강화해야 함
- AI와 IoT를 접목한 스마트 보안 솔루션이 미래 보안의 핵심 역할을 할 것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검해야 할 사이버보안 기술 5가지 (0) | 2025.01.24 |
---|---|
새로운 악성코드 배포 방식: DaaS와 스타게이저고스트 네트워크 (0) | 2025.01.24 |
클라우드 비용 관리: 지속적인 최적화의 중요성 (0) | 2025.01.24 |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 신규 지정 및 SaaS 활용 규제 완화 (0) | 2025.01.24 |
소비자의 AI 활용 신뢰 부족과 기업의 윤리적 과제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