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와 전망: 제로 트러스트①] 현장 맞는 제로 트러스트 모델 찾아야 - 데이터넷
[평가와 전망: 제로 트러스트①] 현장 맞는 제로 트러스트 모델 찾아야 - 데이터넷
[데이터넷] AI, 클라우드, 제로 트러스트가 주도하는 디지털 기술 변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변화에 제대로 대응해야만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2025년 IT 시장에서 일어날 변화를
www.datanet.co.kr
[평가와 전망: 제로 트러스트②] “보안 기본 원칙, 제로 트러스트” - 데이터넷
[평가와 전망: 제로 트러스트②] “보안 기본 원칙, 제로 트러스트” - 데이터넷
[데이터넷] AI, 클라우드, 제로 트러스트가 주도하는 디지털 기술 변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 변화에 제대로 대응해야만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2025년 IT 시장에서 일어날 변화를
www.datanet.co.kr
-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 발표
- 제로 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은 기업의 도입 및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
- 성숙도 모델 제공: 미국 CISA와 NSA의 모델을 참고하여 국내 환경에 맞게 개편
- 제로 트러스트 도입 절차는 준비, 계획, 구현, 운영, 피드백 및 개선의 5단계로 구성
- 제로 트러스트의 핵심 원칙과 도입 어려움
- 제로 트러스트는 항상 신뢰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 원칙
- 접근과 행위의 단위 설정, 위험 수준 평가 기준 등으로 인해 도입 및 운영 복잡성이 높음
- 정책 자동화와 비즈니스 변화 반영이 필수적
- 국내 기업 및 컨소시엄의 역할
- 한국제로트러스트위원회(KOZETA)를 중심으로 보안 기업과 도입 기업이 협력해 다양한 모델 시범 적용
- 파이오링크, 모니터랩, 지니언스 등 주요 기업들이 제로 트러스트 솔루션을 기반으로 시범사업 진행
- 개방형 아키텍처와 유연한 통합을 통해 맞춤형 제로 트러스트 모델 제안
- 제로 트러스트의 공공 및 금융 도입 확대
- 정부의 망분리 규제 완화와 국가망보안체계(N²SF) 도입 추진
- 공공 및 금융기관에서 민간 클라우드 활용 증가와 함께 제로 트러스트 보안 전략 필수화
- 적응형 접근 전략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적용으로 클라우드 환경 보안 강화
- 제로 트러스트 기술의 주요 활용 사례
- ZTNA: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크 액세스로 사용자 및 기기 인증을 통한 내부 시스템 보호
- SASE/SSE: 엣지 보안과 네트워크 기능 통합 제공
- 보안 웹 게이트웨이(SWG), 클라우드 액세스 브로커(CASB), 원격 브라우저 격리(RBI) 등 활용
- 보안 운영(SecOps) 효율성 강화
- 지속적인 신뢰 유지와 위협 관리로 공격 표면 축소
- 지속적인 위협 노출 관리(CTEM)와 위협 탐지 및 대응(TDIR)로 내부 보안 강화
- 침투 테스트와 보안 교육을 통해 조직 전반의 보안 수준 향상
- 과장된 마케팅으로 인한 혼란과 대응
- 제로 트러스트를 특정 기술로 한정하는 과장 광고로 인해 도입 혼란 발생
- 도입 전 환경 평가와 요구사항 정의를 통해 실현 가능한 전략 수립 필요
- 제어 효과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개선하는 과정 중요
- 결론
- 제로 트러스트는 단일 기술이 아닌 보안 철학과 아키텍처 전략
- 조직의 환경과 요구사항에 맞는 맞춤형 모델과 실행 계획 수립 필요
- 보안과 운영의 균형을 맞춘 지속 가능한 접근이 장기적인 성공을 보장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현대화와 클라우드·AI 기술 융합의 혁신 (0) | 2025.01.13 |
---|---|
페이스북 광고 관리자 계정을 노리는 노드스틸러(NodeStealer) 악성코드 분석 (1) | 2025.01.13 |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시장의 동향과 전망 (0) | 2025.01.13 |
2025년 주요 IT 시장 전망: 생성형 AI와 정보보안의 대격변 (0) | 2025.01.13 |
SW 공급망 보안 위협 심화: 2025년의 주요 보안 이슈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