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내는 카뱅 AI 도입…내달 정보보안·감사 업무까지 확대 : 네이트 뉴스
속도 내는 카뱅 AI 도입…내달 정보보안·감사 업무까지 확대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경제 - 뉴스 :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카카오뱅크가 다음 달부터 ‘반복 수작업 업무 자동화(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프로젝트 시즌3에 본격 돌입한
news.nate.com
- RPA 프로젝트 추진 개요
- 2023년부터 연차별로 진행된 RPA 자동화 과제 프로젝트를 시즌3로 확대
- 2025년 5월부터 11월까지 RPA 자동화 과제 3차 개발 진행 예정
- 4월 25일 우선협상 대상 기업 선정 예정
- 자동화 적용 범위 확장
- 기존 고객 서비스, 증빙자료 검증 중심에서 정보보안 및 감사업무로 확장
- 법규 준수 모니터링, 운영 업무 사후 점검, 감사 자료 분석 등에 RPA 적용 계획
- 보안 로그 분석, 내부통제 체크리스트 자동 처리 등 보안 분야 자동화 기대
- 기술 요소 및 활용 사례
- 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내재화하여 서류 기반 업무 자동화
- 전월세 보증금 대출, 주택담보대출 계약서 자동 검증
- 개인정보 마스킹 처리 및 이미지 파일 자동 분류
-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AI를 RPA와 결합
- 사용자의 자연어 요청을 파악해 실행 가능한 작업으로 자동 전환
- 실시간 의도 분석 및 판단, 결과 전달까지 전자동 처리
- 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내재화하여 서류 기반 업무 자동화
- 사내 운영 체계 및 자동화 문화 정착
- 사내 메신저 'moBot'과 연동된 RPA 통합 알림 시스템 운영
- 자동화 과제 현황을 전사에 실시간 공유
- 시민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 운영 예정
- 비개발 부서에서도 RPA 활용 가능한 환경 조성
- 보안팀 및 감사팀의 RPA 도입 장려
- 사내 메신저 'moBot'과 연동된 RPA 통합 알림 시스템 운영
- 자동화 성과 및 기대효과
- 시즌1: 연간 2만 7000시간, 시즌2: 3만 5000시간 업무 자동화 달성
- 30여명 정규 인력의 연간 반복업무를 대체
- 정보보안·감사 영역으로 자동화 확장 시 내부 통제 강도 강화 및 감사 리스크 완화 예상
- AI 기반 분석으로 의사결정 지원 및 이상 탐지 정교화 기대
- 시즌1: 연간 2만 7000시간, 시즌2: 3만 5000시간 업무 자동화 달성
- 결론
- 카카오뱅크의 RPA 시즌3는 정보보안과 감사 업무까지 AI 기반 자동화를 확장함으로써 디지털 통제 강화를 추진하는 사례로 주목됨
- LLM과 RPA의 결합은 보안 위협 대응 속도 향상과 감사 이슈의 사전 탐지에 효과적일 수 있음
- 금융업권 전반에 걸쳐 반복·고위험 영역의 자동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며,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분야의 RPA 도입이 점차 표준화될 것으로 전망됨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해킹조직 UNC5174, SNOWLIGHT와 VShell을 활용한 리눅스 타깃 공격 분석 (1) | 2025.05.27 |
---|---|
Node.js 기반 악성코드 캠페인 확산과 보안 위협 분석 (1) | 2025.05.27 |
토스의 보안 전략 공개: 자체 개발과 오픈소스 기반 보안 체계 운영 (0) | 2025.05.26 |
금융보안원, 금융사 대상 정보보호 상시평가로 개인신용정보 보호 강화 (0) | 2025.05.26 |
공공 와이파이 이용자의 보안 인식 실태와 대응 방안 (1)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