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위믹스 코인 해킹 사고 분석

Kant Jo 2025. 3. 24. 07:30

위믹스 코인 대규모 해킹 사고…90억원 규모 피해 - 딜사이트

 

위믹스 코인 대규모 해킹 사고…90억원 규모 피해 - 딜사이트

이상 거래 감지 TF 구성해 대응…거래소 유의종목 지정

dealsite.co.kr

 

  • 사고 개요
    • 2025년 2월 28일,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WEMIX)의 플레이 브릿지 볼트에서 악의적 외부 공격 발생
    • 총 865만개 위믹스 코인이 탈취되어 약 90억원 규모의 피해 발생
    • 해킹은 하루 동안 13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탈취 코인은 공격자의 지갑 2개로 분산 전송됨
  • 공격 경유 및 기술적 배경
    • 플레이 브릿지는 위믹스 체인 간 토큰 교환을 위한 중간 계층 서비스
    • 볼트는 토큰 교환을 위해 코인을 보관하는 저장소 역할 수행
    • 내부 모니터링 중 이상 거래 감지 후 비상 대응 태스크포스(TF) 구성
    • 침해 발생 후 주요 서버 종료, 서비스 일시 중단, 공격 루트 차단 등 긴급 조치 시행
  • 코인 이동 및 유통 경로
    • 탈취 코인은 77개 주소를 거쳐 글로벌 거래소 7곳으로 분산 입금됨
    • 주요 거래소는 쿠코인, 비트마트, 바이비트, 비트겟, HTX 등
    • 위믹스 측은 대다수 탈취 코인이 거래소에서 매도된 것으로 추정
  • 대응 조치 및 후속 조치
    • 위믹스는 해킹 사실을 인지한 당일 수사기관에 신고
    • 관련 거래소에 지갑 동결 요청 및 협조 공문 발송
    • 외부 보안 기업 티오리와 공동으로 침해 원인 분석 중
    • 일부 거래소에서는 위믹스를 거래유의종목으로 지정
    • 위믹스는 향후 보안체계 전면 개편 및 서비스 재개 예정
  • 결론
    • 체인 간 연동 서비스는 브릿지(Bridge) 계층에서의 취약점 노출 가능성이 높음
    • 다중 서명(Multisig), 접근통제, 실시간 이상 탐지 시스템 강화 필요
    • 거래소와의 자동화된 API 기반 위협 인텔리전스(Threat Intelligence) 공유 체계 필요
    •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의 정기적 보안 점검 및 외부 감사를 통한 취약점 예방 중요
    • 위믹스와 같은 대규모 자산 연동 플랫폼은 보안 대응 조직 및 사고대응 훈련 체계 강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