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윈도우 10 지원 종료 이후의 대비 전략

Kant Jo 2025. 3. 17. 12:40

'작별 정해진' 윈도우 10, 그 이후를 대비하기

 

'작별 정해진' 윈도우 10, 그 이후를 대비하기

2025년 10월 14일 이후에는 정기적인 윈도우 10 업데이트가 없을 것이다. 정말 심각한 보안 결함이 발견될 경우는 예외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www.itworld.co.kr

 

  • 윈도우 10 지원 종료 일정
    • 2025년 10월 14일 이후 보안 업데이트 중단
    • 보안 취약점이 발견될 경우 긴급 패치 제공 가능성 존재
    •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요구 사양이 높아 기존 PC 사용자의 선택지 필요
  • 옵션 0: 확장 지원 서비스 활용
    • 마이크로소프트의 유료 확장 지원(ESU) 서비스 이용 가능
    • 1년당 약 30달러의 비용으로 보안 업데이트 제공
  • 옵션 1: 구형 PC에 윈도우 11 강제 설치
    • 공식 요구 사양 미충족 PC에서도 설치 가능
    • TPM 2.0, 보안 부팅 요구사항 우회 가능
    • 보안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어 윈도우 10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안전
    • 설치 절차
      • 윈도우 11 ISO 파일 다운로드
      • 루퍼스(Rufus) 프로그램을 이용한 부팅 USB 생성
      • 보안 부팅 및 TPM 2.0 요구사항 제거 후 설치
  • 옵션 2: 리눅스로 전환
    • 마이크로소프트 종속성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리눅스 고려 가능
    • 주요 배포판
      • 리눅스 민트: 윈도우와 UI가 유사하며 초보자에게 적합
      • 우분투(Ubuntu):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배포판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지원
    • 설치 방법
      • 리눅스 ISO 파일 다운로드 후 부팅 USB 생성
      • 기존 SSD 또는 별도의 저장 장치에 설치
      • 드라이버 및 필수 프로그램 설정 후 사용
  • 옵션 3: 윈도우 10을 계속 사용하면서 보안 강화
    • 보안 업데이트 없이 사용 시 주요 위험 요소
      • 신규 보안 취약점 노출 가능성
      • 멀웨어 감염 및 데이터 유출 위험 증가
    • 보안 강화 방법
      • 프로그램 최신 상태 유지: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주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신뢰할 수 있는 바이러스 백신 사용
      • 방화벽 설정 강화: 애플리케이션 방화벽(GlassWire, Portmaster 등) 활용
      • DNS 보안 강화: Pi-hole 등으로 악성 사이트 차단
      • 2단계 인증 활성화: 계정 보호 강화
      • 주기적 백업 필수: 랜섬웨어 대비
  • 결론
    • 윈도우 10 지원 종료 이후 대응 방안은 사용자의 요구와 환경에 따라 다름
    • 단기적으로는 확장 지원 서비스(ESU)나 윈도우 11 강제 설치가 현실적인 선택
    • 장기적으로는 리눅스로 전환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
    • 보안 업데이트가 중단된 상태에서 윈도우 10을 계속 사용할 경우 강력한 보안 대책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