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新사이버 위협①] AI로 훔치고, 딥페이크로 속인다
[편집자주]디지털 기술 발전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들지만 동시에 이를 악용한 사이버 위협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주요 사이버 보안 사고들은 이러한 위협이 단순히 기술적
www.newsis.com
[新사이버 위협②]"한 곳 뚫렸더니 다 털렸다"…경각심 커진 SW 공급망 보안
[新사이버 위협②]"한 곳 뚫렸더니 다 털렸다"…경각심 커진 SW 공급망 보안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지난해 5월 국내 한 기업의 토스트 팝업(보통 PC 화면 우측 하단에 나오는 알림창) 광고 프로그램을 악용한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익스플로
www.newsis.com
[新사이버 위협③]"공공기관도 클라우드 쓴다고"….늘어나는 해킹 접점 : 네이트 뉴스
[新사이버 위협③]"공공기관도 클라우드 쓴다고"….늘어나는 해킹 접점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IT/과학 - 뉴스 :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2019년 미국의 주요 금융기관 중 하나인 캐피탈 원은 대규모 데이터 유출 사고를 겪었다. 이 사고로 약 1억600만명의
news.nate.com
[新사이버 위협④]비트코인 노리는 거래소 해킹…올해도 파상공세
[新사이버 위협④]비트코인 노리는 거래소 해킹…올해도 파상공세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IT/과학 - 뉴스 :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 일본의 가상자산 거래소 'DMM 비트코인'은 2024년 5월에 해킹을 당해 약 3억500만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이 도난당했
news.nate.com
[新사이버 위협⑤] 전력망·교통체계 노리는 해커들…국가 주도형 사이버 위협 는다
[新사이버 위협⑤] 전력망·교통체계 노리는 해커들…국가 주도형 사이버 위협 는다 : 네이트 뉴
한눈에 보는 오늘 : IT/과학 - 뉴스 :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 3년째로 접어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의 전쟁은 군사적 충돌과 함께 디지털 공간에서도 치열하게 전개됐다.
news.nate.com
- AI와 딥페이크 악용 사례
- AI 생성 기술을 활용한 피싱, 랜섬웨어 및 딥페이크 기반 공격 급증
- 사례1: AI로 생성된 가짜 화상회의에 속아 2억 홍콩달러 이체
- 사례2: AI로 랜섬웨어 제작한 일본 범죄자 검거
- 딥페이크를 악용한 성범죄 및 사회공학적 공격이 증가
- 유명인 사진·음성을 모방한 허위정보 확산 사례 다수 발생
- AI 기반 악성 도구(사기GPT, 웜GPT) 다크웹 거래 활성화
- 사기GPT: 금융사기 및 악성코드 작성에 사용
- 웜GPT: 피싱 및 자동화된 네트워크 공격에 활용
- AI 생성 기술을 활용한 피싱, 랜섬웨어 및 딥페이크 기반 공격 급증
- SW 공급망 보안 위협
- SW 공급망 공격이 대형 IT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확대
- 사례: 국내 기업의 광고 스크립트를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 글로벌 사례: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업데이트 오류로 발생한 전산 마비
- 복합 공격 기법 사용 증가
- 워터링홀 공격, 악성코드 삽입, 디지털 인증서 탈취 등
- SW 공급망 공격이 대형 IT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확대
- 클라우드 및 IoT 보안 과제
- 클라우드 도입 확대와 함께 공격 표면 증가
- 멀티클라우드 및 IoT 기기의 확산으로 관리 복잡성 증가
- 사례: 클라우드 설정 오류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 IoT 해킹 위험: 한 번의 침투로 전체 네트워크 위협 가능
- 클라우드 도입 확대와 함께 공격 표면 증가
- 가상자산 거래소 공격
- 2024년 가상자산 해킹 피해액 22억 달러 초과
- 북한 연계 해커들이 전 세계 해킹 피해액의 약 60%를 차지
- 대표적 공격 방식: 피싱 캠페인, 랜섬웨어 및 계정 탈취
- 콜드월렛 예치 강화가 주요 대응책으로 부상
- 2024년 가상자산 해킹 피해액 22억 달러 초과
- 국가 기반시설 표적 공격
- 전력망, 교통 체계 등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국가 배후 사이버 공격 증가
- 사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에너지 시설 마비 시도
- 첨단 기술(양자기술, AI, 블록체인)을 노리는 새로운 위협 증가
- 전력망, 교통 체계 등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국가 배후 사이버 공격 증가
- 결론
-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와 데브섹옵스(DevSecOps)를 통한 사전 예방적 보안 강화 필요
- 국제 공조 및 민관 협력을 통해 주요 기반시설의 보안 체계 점검 및 개선
- 사용자 차원에서 의심과 검증의 보안 문화 확산 필수
- 클라우드 및 IoT 보안 강화를 위한 통합 관제 체계 구축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1 BitLocker 암호화 우회 및 키 추출 (0) | 2025.01.13 |
---|---|
Cross-Domain Attacks: 현대 보안의 주요 위협과 대응 전략 (0) | 2025.01.13 |
클라우드 보안: 클라우드 네이티브 확산과 보안 문제 심화 (0) | 2025.01.13 |
환경부 해킹 및 소스코드 유출 사건 (0) | 2025.01.13 |
네트워크 현대화와 클라우드·AI 기술 융합의 혁신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