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검색 최적화 조작(SEO Poisoning) 공격 분석

Kant Jo 2025. 1. 14. 13:41

사이버 공격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유행하는 ‘검색 최적화 조작’ 톺아보기

 

사이버 공격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유행하는 ‘검색 최적화 조작’ 톺아보기

사이버 공격자들이 피해자들을 어디론가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기법 중 ‘검색 최적화 조작(SEO poisoning)’이 있다. 뭔가를 검색하는 사람들이 검색엔진들에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

www.boannews.com

 

  • 개념 및 배경
    • 검색엔진 알고리즘을 악용해 악성 웹사이트를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시키는 공격
    • 합법적 기술(검색 엔진 최적화, SEO)을 악용하여 사용자가 악성 링크를 클릭하게 유도
    • 구글, 빙 등 유명 검색엔진의 신뢰도를 공격에 활용
  • 공격 방식
    • 링크팜(Link Farm)
      • 사이트 방문자 수에 따라 신뢰도를 평가하는 검색엔진 알고리즘 악용
      •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가짜 웹사이트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방문자 수를 인위적으로 증가
    • 키워드 채워넣기(Keyword Stuffing)
      • 검색 키워드와 관련 없는 단어를 웹페이지에 대량 삽입하여 검색 결과 상위를 차지
      • 자동화된 도구로 키워드 포함 웹페이지를 대량 생성
  • 공격자 활용 사례
    • 피싱 사이트로 사용자 유도
    • 악성코드 배포
    • 개인정보 탈취 및 금전 사기
  • 대표적인 방어 방법
    • 파일 확장자 표시 활성화
      • 파일 이름 뒤 확장자까지 표시하도록 설정하여 악성 파일 실행 방지
      • 예: '파일이름.pdf.exe'를 '파일이름.pdf'로 착각하지 않도록 설정
    • 스크립트 실행 프로그램 변경
      • 자바스크립트(.js), 비주얼베이직 스크립트(.vbs) 등의 기본 실행 프로그램을 메모장으로 설정
      • 악성 스크립트 실행 차단 가능
    • 검색 결과 출처 검증
      • 검색된 URL의 신뢰성을 확인
      • 공식적인 도메인과 비교하여 가짜 사이트 차단
  • *결론 *
    • 검색 최적화 조작은 기술적 회색지대를 악용한 공격으로, 사용자들의 의심과 검색엔진의 기술적 대응이 함께 필요
    • 사용자 교육을 통해 악성 콘텐츠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구분하는 방법 전파 필요
    • 검색 결과에서 신뢰도가 낮은 URL이나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클릭을 자제
    • 개인 보안 설정(파일 확장자 표시, 스크립트 실행 제한)을 통해 초기 단계에서 위협 차단 가능
    • 검색엔진 업체는 악성 SEO를 탐지 및 차단하는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