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최근 5년간 악성코드 급증 및 대응 방안

Kant Jo 2024. 11. 10. 15:49

인터넷 등에서 신고·탐지된 악성코드, 최근 5년간 370만여건으로 급증

 

인터넷 등에서 신고·탐지된 악성코드, 최근 5년간 370만여건으로 급증

2019년 이후 5년간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에서 발생한 악성코드 침해사고가 10배 이상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에 집계된 악성코드는 11만 4,307건에 그쳤으나, 올해 신고·탐지된 악

www.boannews.com

 

  • 악성코드 발생 현황
    • 2019년 이후 인터넷스마트폰 등에서 발생한 악성코드 침해사고10배 이상 급증
    • 2019년에는 11만 4,307건의 악성코드가 탐지되었으나, 2024년 8월까지125만 2,431건이 신고 및 탐지됨
    • 최근 5년간369만 7,340건의 악성코드가 탐지됨
  • 악성코드 종류 및 주요 위협
    • 악성코드는 바이러스, 랜섬웨어, 트로이목마, 디도스, 스파이웨어, 백도어, 봇넷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
    • 금전 탈취, 내부 자료 유출, 시스템 마비 등을 목표로 악성코드가 사용됨
    • 개인정보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음
  • KISA의 대응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탐지된 악성코드를 분석하여 해외 명령·조정지 차단, 백신사와의 정보 공유, 사고 원인 조사 등을 통해 피해 확산 방지
    • 118센터보호나라를 통해 악성코드 관련 상담 및 신고 접수, 대응 절차 안내
    • 백신 설치보안 업데이트 권장을 통해 사용자 인식 제고
  • 대응 방안 및 제언
    • 이훈기 의원악성코드 방지 대책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기업과 국가 자산 보호를 위한 조치 요구
    • KISA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이 악성코드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고, 이용자 보호 조치에 힘쓸 필요 있음
  • 시사점
    • 인터넷스마트폰 인프라가 발달한 만큼, 악성코드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아져 지속적인 보안 강화 필요
    • 해킹 및 금전 탈취 시도를 막기 위한 사전 예방 시스템대응 프로세스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