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이 최우선일 때” 베어메탈 클라우드가 존재하는 이유
“성능이 최우선일 때” 베어메탈 클라우드가 존재하는 이유
필자는 지난 주에 한동안 하지 않았던 일을 했는데, 고객에게 베어메탈(Bare Metal) 클라우드 서비스를 추천한 것이다. 고객은 구체적인 목적이 있었고, 베어메탈 클라우드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www.itworld.co.kr
- 베어메탈 클라우드 개요
- 가상머신 및 하이퍼바이저 없이 물리 서버 자원 전체를 전용으로 제공
- 퍼블릭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온프레미스의 고성능·제어권을 동시에 추구하는 구조
- 성능 오버헤드가 없는 컴퓨팅 환경으로 AI, HPC(고성능 컴퓨팅), 특수 아키텍처 워크로드에 최적화
- 주요 사용 사례
- AI/ML 모델 훈련
- 고성능 GPU 자원을 필요로 하며, 가상화 오버헤드가 없는 환경에서 훈련 효율성 제고
- 고성능 컴퓨팅(HPC)
- 과학 시뮬레이션, 대규모 데이터 모델링, 연구분석 등 지연에 민감한 워크로드에 적합
- 특수 아키텍처 기반 워크로드
- ARM, IBM Z 등 비표준 프로세서 기반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및 운영 환경 제공
- 규제 산업 환경
- 금융, 정부, 의료 등 규제 요구에 맞춘 전용 서버 환경 제공으로 컴플라이언스 충족
- AI/ML 모델 훈련
- 주요 베어메탈 클라우드 공급자
- AWS EC2 베어메탈 인스턴스: 기존 AWS 사용자에게 전환 용이, 통제권은 다소 제한적
- Azure 베어메탈 인프라: 다양한 구성 제공, 다만 지역적 이용 제약 존재
- 디지털오션 베어메탈 GPU: 중소기업 대상 GPU 기반 AI 워크로드 지원
- IBM 클라우드: Z 메인프레임, 리눅스원 등 고유 아키텍처 지원이 강점
- 피닉스NAP, 랙스페이스, 벌처 등: 유연한 API 제공, 다양한 가격대, 지역적 범위 차이 있음
- 베어메탈 클라우드의 한계
- 비용 부담: 가상 인스턴스보다 높은 가격, 일반 워크로드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음
- 애플리케이션 이동성 제약: VM 전용으로 설계된 앱은 이식에 기술적 작업 필요
- 유연성 부족: 자원 확장이 물리 하드웨어 범위로 제한, 자동 스케일링 기능 미흡
- 지리적 한계: 일부 공급자는 글로벌 커버리지가 부족해 지연 이슈 유발 가능성 존재
- 결론
- 베어메탈 클라우드는 성능이 우선되는 특정한 목적 하에 전략적으로 사용되어야 함
- 클라우드 유연성을 포기하더라도 하드웨어 통제권과 최대 성능 확보가 필요할 경우 적합
- 조직의 워크로드 특성, 보안 규제, 비용 구조 등을 종합 고려해 채택 여부를 결정해야 함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T37(ScarCruft), ZIP 파일 기반 PowerShell 스크립트로 RokRat 배포 공격 (0) | 2025.04.13 |
---|---|
생성형 AI와 섀도우 IT의 경계 흐림, CISO의 역할 재정의 필요 (0) | 2025.04.12 |
슬랙과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7가지 방법 (0) | 2025.04.12 |
닷넷(.NET) 10 주요 기능 변화와 개선점 분석 (0) | 2025.04.12 |
Medusa 랜섬웨어 공격 42% 급증 및 고도화된 공격 기법 분석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