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llels Desktop 0-Day Exploit Enables Root Privileges – PoC Released
Parallels Desktop 0-Day Exploit Enables Root Privileges – PoC Released
A critical zero-day vulnerability in Parallels Desktop virtualization software has been publicly disclosed after seven months of unresolved reporting.
gbhackers.com
- 취약점 개요
- Parallels Desktop 가상화 소프트웨어의 0-Day 취약점 공개
- 공격자가 macOS 시스템에서 루트(root) 권한을 획득할 수 있음
- 기존에 패치된 CVE-2024-34331 취약점의 우회 방법을 이용
- PoC(Proof of Concept) 익스플로잇 코드 공개
- 기술적 분석
- 패치 검증 우회 방법
- 기존 패치에서는 Apple 서명된 바이너리만 권한 상승을 허용
- 새로운 우회 방법은 서명 검증 논리의 약점을 이용
- 우회 방법 1: TOCTOU (Time-of-Check to Time-of-Use) 경쟁 조건
- 검증된
createinstallmedia
바이너리를 검증 후 실행 사이의 짧은 시간에 악성 페이로드로 교체# 공격 스크립트 예시 defaults write /tmp/poc.app/Contents/Info.plist CFBundleDisplayName createinstallmedia open /tmp/poc.app -a /Applications/Parallels\ Desktop.app mv /tmp/payload /tmp/poc.app/Contents/Resources/createinstallmedia
- 서명 검증 후 실행까지의 시간차를 이용해 임의 코드 실행 가능
- 검증된
- 우회 방법 2: 약한 서명 요구 조건 악용
anchor apple
규칙을 사용해 모든 Apple 서명 바이너리(예:/bin/ls
)가 검증을 통과하도록 함- 동적 라이브러리(DYLIB) 하이재킹을 통해 합법적인 Apple 바이너리에 악성 코드를 주입
- 패치 검증 우회 방법
- 취약점 진화 및 추가 취약점 발견
- Parallels 19.4.1 버전의
do_repack_manual
함수의 경로 탐색 취약점 - 공격자는
CFBundleDisplayName
값을 이용해 임의의 경로에 코드를 실행 가능# 경로 조작을 통한 공격 방법 defaults write /tmp/poc.app/Contents/Info.plist CFBundleDisplayName ../../../../../../tmp/lnk/result ln -s /tmp/redirect /tmp/lnk ln -sfn /tmp/dst /tmp/lnk
- Parallels 19.4.1 버전의
- 공급업체 대응 및 문제점
- 연구자는 2024년 5월 31일 Zero Day Initiative(ZDI)에 보고
- Parallels는 일부 업데이트를 배포했으나 근본적인 권한 상승 문제는 해결되지 않음
- 주요 영향
- 루트 권한을 통한 완전한 시스템 제어 가능
- macOS 투명성 메커니즘을 우회해 코드 실행
- 공급망 공격(Supply Chain Attack)으로 확장 가능
- 보안 권고
- Parallels 권한 제한
- macOS 시스템 설정 > 보안 > 자동화에서
prl_disp_service
자동 실행 비활성화
- macOS 시스템 설정 > 보안 > 자동화에서
- ISO/DMG 소스 감사
- Apple의 공식 배포 채널에서만 설치 이미지를 처리
- 파일 시스템 활동 모니터링
/Library/
디렉터리 또는 Parallels 리소스 디렉터리에 대한 비정상적 수정 감시
- Parallels 권한 제한
- 결론
- 가상화 서비스의 특권 권한 사용 시 발생하는 지속적인 위험을 보여줌
- Parallels Desktop을 사용하는 개인 및 기업은 신속히 완화 조치를 취해야 함
- 공급업체에서 종합적인 패치를 배포할 때까지 이를 활성 위협으로 간주해야 함
'Kant's IT > Vulnera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갤럭시 '보안 폴더' 기능의 보안 취약점 분석 (0) | 2025.03.08 |
---|---|
Sliver C2 서버 취약점, TCP 하이재킹을 통한 트래픽 가로채기 가능 (0) | 2025.03.06 |
Exim 메일 전송 취약점(CVE-2025-26794)으로 악성 SQL 주입 가능 (0) | 2025.03.06 |
F5 BIG-IP 명령어 주입 취약점(CVE-2025-20029) PoC 익스플로잇 공개 (0) | 2025.03.06 |
Nagios XI 취약점, 인증 우회로 사용자 정보 노출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