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 Bans Accounts Misusing ChatGPT for Surveillance and Influence Campaigns
- 주요 내용
- OpenAI는 ChatGPT를 이용해 감시 도구와 여론 조작 캠페인을 개발한 계정을 차단함
- 차단된 계정들은 중국에서 기원한 것으로 의심되며, AI를 이용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도구를 개발함
- 해당 도구는 서드파티 플랫폼(예를 들어 X,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레딧)에서 게시물과 댓글을 분석함
- 악용 사례 및 추가 활동
- 공격자들은 ChatGPT를 활용해 소스 코드를 디버깅하고, 모니터링 소프트웨어(Qianyue Overseas Public Opinion AI Assistant)의 코드를 수정함
- 가짜 채용 제안, 후원된 불만 유도, 로맨스 사기, 이란 영향력 캠페인, 청년 영향력 작전, 작업 사기 등 다양한 악의적 활동에 ChatGPT를 악용함
- 기술 및 운영 전략
- 공격자는 ChatGPT의 텍스트 생성 기능을 이용해 문서 분석, 번역, 소스 코드 수정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함
- 악의적 네트워크는 AI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 도구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대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생성함
- 국제적 및 정책적 반응
- 미국 상원의원과 의원들이 영국 정부에 백도어 요구 철회를 촉구하는 등 국제적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 OpenAI는 업계와 협력해 악의적 활동에 대한 탐지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유사 사례 발생 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계획임
- 결론
- AI 도구가 사이버 범죄 및 악의적 영향력 캠페인에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보안 인식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함
- 플랫폼 사용자와 기업은 AI의 악용 가능성을 인지하고, 의심스러운 활동 발견 시 즉각적으로 신고 및 대응할 필요가 있음
- 업계, 연구자, 정책 입안자 간의 정보 공유를 통해 악의적 AI 활용 사례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야 함
'Kant's IT > Issue on IT&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사이버 보안 요약, 15억 달러 암호화폐 절도부터 AI 오용, Apple의 데이터 보호 논란까지 (2025.02.25.) (0) | 2025.03.06 |
---|---|
Zhong Stealer 악성코드, Zendesk 악용해 핀테크·암호화폐 공격 (1) | 2025.03.04 |
SPAWNCHIMERA 악성코드, Ivanti Connect Secure 취약점(CVE-2025-0282) 악용 (0) | 2025.03.04 |
NSA의 Northwestern Polytechnical University 해킹 의혹 (0) | 2025.03.04 |
ACRStealer 악성코드, Google Docs를 C2로 악용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