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GhostGPT – 사이버 범죄를 위한 탈옥된 AI 챗봇의 등장

Kant Jo 2025. 1. 31. 13:40

GhostGPT - Jailbreaked ChatGPT that Creates Malware & Exploits

 

GhostGPT - Jailbreaked ChatGPT that Creates Malware & Exploits

The latest and most concerning addition to this list is GhostGPT, a jailbroken variant of ChatGPT designed specifically for illegal activities.

gbhackers.com

 

  • 개요
    • GhostGPT는 기존 ChatGPT의 윤리적 제한과 보안 프로토콜을 제거한 탈옥된(Jailbreaked) 챗봇
    • 악성 코드 제작, 피싱 공격, 보안 취약점 악용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새로운 도구로 활용
    • Telegram을 통해 판매되며, 로그를 저장하지 않는 ‘No Logs’ 정책으로 익명성을 강조
  • GhostGPT의 주요 특징
    • 빠른 응답 처리: 악성 코드 및 기술적 익스플로잇(Exploit)을 신속하게 생성 가능
    • 로그 미저장: 사용자 활동이 기록되지 않아 익명성이 보장됨
    • 간편한 접근성: Telegram을 통해 즉시 구매 및 사용 가능하며 별도의 기술적 조작 없이 실행 가능
  • 공격자들이 GhostGPT를 활용하는 방법
    • 악성코드 개발: 다양한 유형의 멀웨어(Malware) 및 바이러스 생성 및 수정 가능
    • 피싱 캠페인: 기업 이메일 침해(BEC) 공격을 위한 설득력 있는 피싱 이메일 자동 생성
    • 보안 취약점 악용: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 탐색 및 악용 지원
    • 소셜 엔지니어링: 인간의 심리를 악용하여 보안 인증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 설계
  • 실제 테스트 사례
    • Abnormal Security 연구진이 GhostGPT에 DocuSign 피싱 이메일 작성을 요청한 결과, 신뢰성을 높인 정교한 이메일 템플릿이 생성
    • 이처럼 AI가 자동으로 해킹 공격을 지원하면서 초보적인 해커도 손쉽게 사이버 범죄를 시도할 수 있게 됨
  • GhostGPT가 초래하는 보안 위협
    • 사이버 범죄의 진입 장벽 하락: 기술적 지식이 부족한 공격자도 간단한 설정만으로 해킹 공격 가능
    • 범죄자들의 공격 역량 강화: 악성 코드 개발 및 보안 취약점 공격을 자동화하여 공격 속도 증가
    • AI 기반 사이버 범죄 증가: GhostGPT와 같은 탈옥된 AI 챗봇이 다크웹 및 해킹 포럼에서 인기를 끌면서 AI를 활용한 범죄가 확산될 가능성 높음
  • 보안 권고
    • AI 챗봇의 윤리적 사용 규제 강화: 정부 및 사이버 보안 기관이 AI 기술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새로운 법률과 정책 도입 필요
    • AI 개발사의 보안 강화: AI 모델 내 보안 제한을 우회하는 행위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기술 도입 필요
    • 사용자 교육 및 인식 제고: AI 기반 피싱 및 악성 코드의 위협을 경고하고, 보안 수칙 준수 중요성 강조
    • AI 남용 탐지 시스템 도입: 사이버 보안 기업들이 AI 악용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시간 대응 체계 강화
  • 결론
    • GhostGPT는 AI 기술이 사이버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 사이버 보안 및 정책 입안자들은 AI 챗봇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규제와 대응책 마련이 시급함
    • AI는 혁신적인 기술이지만, 보안 관리가 미흡하면 범죄자들에게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