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SKT 해킹 사태와 국가 사이버 안보 위협

Kant Jo 2025. 7. 13. 15:00
  • SKT 해킹의 배후 및 수법
    • 유심(USIM) 정보를 포함한 민감한 통신 데이터 해킹 발생
    • 공격 흐름이 싱가포르를 경유한 점, APT(지능형 지속 공격) 방식 활용 가능성 제기
    • 전문가들은 중국 해커 조직의 수법과 유사하다고 분석
    • 중간 경유지를 통한 우회 경로 설정은 국가 지원 해킹 그룹의 전형적인 전략
  • 사이버 공격의 목적 및 위협 수준
    • 금전 목적 외 감청, 위치 추적, 전략적 정보 수집 등 국가 안보 차원의 목적 추정
    • AI를 악용한 공격으로 백도어(BPF도어) 변종 확산
    • 해커들이 AI를 통해 시스템 탐지 회피, 취약점 자동 분석 등 고도화된 공격 수행
  • 글로벌 사이버 안보 대응 사례
    • 미국, 2018년 사이버군 창설, 국방부 산하 사이버사령부 승격
    • EU, 사이버연대법 제정 및 대규모 공동 대응체계 구축
    • 주요국들은 사이버 안보를 새로운 주권 영역으로 인식하고 전략 수립
  • 대한민국의 대응 현황과 한계
    • 2019년 국가 사이버안보전략 수립, 민관군 협력체계 선언
    • 최근 중앙 통제 기능 마비, 실질적인 통합 대응력 부재
    • 국가 차원의 침해 사고 분석 및 공격자 식별 능력 부족
  • 기업 정보보호 투자 실태
    • 국내 기업 정보보호 투자 비중 평균 6.1%, 미국(13.2%), 독일(24%) 대비 매우 낮음
    • 정부는 IT 예산 대비 정보보호 예산 10% 이상 확보 방안 추진 중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중심으로 가이드라인 마련 및 법제도 강화 검토
  • 결론
    • SKT 해킹은 국가 차원의 APT 공격 가능성이 존재하며 단순 침해 사고를 넘어선 사이버 안보 위기 상황
    • 정부는 중앙 컨트롤타워 기능을 재정립하고 민관군 사이버 방어 체계 강화 필요
    • 국내 기업은 보안을 비용이 아닌 미래 생존과 고객 신뢰 확보를 위한 투자로 인식 전환 필요
    • AI 기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방어 기술, 위협 인텔리전스 체계(XDR, SIEM, CTEM 등) 강화가 시급

SKT 해킹 누가했을까...APT 공격하는 중국 해커? [해킹 경고등①]

 

SKT 해킹 누가했을까...APT 공격하는 중국 해커? [해킹 경고등①]

[앵커멘트]최근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공격이 단순히 돈을 노린 공격이 아닐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가 차원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는데요. 머니투데이방송(MTN)은

news.mtn.co.kr

 

AI로 무장한 해킹…사이버안보 국가경쟁력 좌우 [해킹 경고등②]

 

AI로 무장한 해킹…사이버안보 국가경쟁력 좌우 [해킹 경고등②]

[앵커멘트]SKT 해킹사태와 연관된 백도어(BPF도어) 프로그램을 인공지능(AI)이 학습하면서 악성코드 변종이 확산되고 있습니다.이로인해 AI 해킹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 차원의

news.mtn.co.kr

 

보안 투자에 인색한 국내 기업들..."비용이라는 인식 버려야" [해킹 경고등③]

 

보안 투자에 인색한 국내 기업들..."비용이라는 인식 버려야" [해킹 경고등③]

[앵커멘트]보안은 칼과 방패의 대결이라고 하죠. 최근 SKT를 비롯해 위믹스, 알바몬 등 연이은 해킹 사건으로 국내 기업들이 정보보호 투자를 꾸준히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선 미

news.m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