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SaaS와 Web2에서 배우는 AI 거버넌스의 교훈
Kant Jo
2025. 5. 6. 21:00
SaaS와 Web2에서 배우는 AI 거버넌스의 교훈
생성형 AI의 실험 단계는 끝났다. 이사회에서 일선 현장까지, 기업은 운영을 간소화하고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며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AI를 프로덕션 환경에 도입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그러
www.itworld.co.kr
- AI 거버넌스의 현황과 도전 과제
- 생성형 AI의 실험 단계를 지나 기업의 실제 운영환경에 본격 도입되고 있음
- AI 도입 확산에 따라 평판, 법적, 재무 리스크가 동반 상승하고 있음
- AI 시스템은 블랙박스처럼 작동하여 기존 감사 방식이 무력화되는 경우가 많음
- 자율 시스템과 AI 에이전트의 부상으로 기술 통제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음
- 미국 내 규제 불확실성과 주별 상이한 법률로 인해 거버넌스 전략 수립에 어려움 존재
- 기존 산업 거버넌스에서의 교훈
- SaaS는 초기에 릴리즈 승인, 접근 통제, 암호화 등 기본 보안에 집중했으나, 수동적 통제로 인한 자원 소모 증가
- Web2 플랫폼은 개인정보 보호 및 콘텐츠 조정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사용자 신뢰 상실
- 두 산업 모두 반응적 거버넌스 방식의 한계에 봉착함
- 전환점은 CI/CD, 머신러닝 기반 모니터링 등 자동화 도구 도입으로, 운영 부담 감소 및 보안과 혁신 향상
- AI 거버넌스의 자동화 전환 필요성
- AI 시대에는 수동적 접근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위험과 규제에 대응하기 어려움
- SaaS와 Web2 사례처럼 지속적이고 자동화된 모니터링 및 통제가 필요
- 예측 가능한 규제 대응, 데이터 사용 추적, 이상 행위 탐지, 정책 준수를 위한 실시간 감시 체계 필수
- ISO 42001, EU AI 법, 미국 주별 법안 등에 대한 컴플라이언스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요구됨
- 지속적이고 자동화된 AI 거버넌스 구현 전략
- 데이터 흐름 추적, 정책 위반 자동 알림, 컴플라이언스 모듈 내재화 등 도구 중심 접근 필요
- 수동 감독 감소로 기술팀은 혁신과 고부가 업무에 집중 가능
- 위험 최소화와 동시에 제품 출시 속도 향상 가능
- 자동화 기반 거버넌스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비즈니스 필수 요소
- 결론
- SaaS 및 Web2의 초기 대응 실패 사례는 AI 거버넌스 전략 수립에 유용한 반면교사
- 비효율적인 반응적 거버넌스는 규정 위반, 신뢰 상실, 혁신 지연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 기업은 자동화된 모니터링, 규제 준수 도구, 위험 탐지 체계를 포함하는 능동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해야 함
- 기술 변화에 맞는 실시간 정책 적용과 조직 전반의 거버넌스 문화 정착이 핵심 성공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