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에이전틱 AI의 작동 원리와 진화 방향

Kant Jo 2025. 5. 6. 20:30

“감지하고 생각하고 행동한다” 에이전틱 AI의 작동 방식

 

“감지하고 생각하고 행동한다” 에이전틱 AI의 작동 방식

맥킨지는 한 보고서에서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가상의 동료를 떠올려보라”라며 “이 기술은 새로운 차원의 생산성과 혁신을 예고한다”라고 설명했다. 에이전틱 AI 이

www.itworld.co.kr

 

  • 에이전틱 AI의 등장 배경
    • 정적 생성형 AI(예: 챗GPT)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
    • 반복 작업 자동화에서 벗어나, 목표 기반 문제 해결과 자율적 결정 수행이 가능
    • LLM, 강화학습, 도구 통합, 메모리, 추론 모듈 결합으로 동작
  • 에이전틱 AI의 핵심 구조
    • 감지(Sense): 환경이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집
    • 사고(Think): LLM 기반 추론, 강화학습, 기억 기반으로 계획 수립
    • 행동(Act): 외부 시스템과의 API 통합을 통해 실행 및 조치 수행
    • 피드백 루프: 행동 결과를 평가하고 학습하여 다음 행동에 반영
  • 주요 기술 요소
    • LLM 기반 이해·추론: 자연어 명령 해석 및 계획 수립
    • 메모리 및 문맥 유지: 연속적 작업과 장기 추론 가능
    • 강화학습(RL): 보상 기반 학습으로 자율 최적화 수행
    • 도구 통합 툴유즈(Tool Use): 웹 검색, API 호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등 외부 액션 가능
    • 피드백 기반 자기보완: 성과 측정 및 실행 전략 조정
  • 에이전트 유형
    • 반응형(Reactive): 규칙 기반 즉시 반응, 학습 없음 (ex. 스마트홈, 간단 챗봇)
    • 계획형(Deliberative): 정보 기반 장기계획 수립 (ex. 자율주행, 의료 시스템)
    • 하이브리드(Hybrid): 위 두 방식을 결합하여 효율성과 유연성 확보
  • API 통합과 작업 자동화
    • 에이전트가 API 문서를 이해하고 파라미터 구성 → 인증 → 호출 → 응답 처리 수행
    • 예: 이메일 전송, DB 검색, 클라우드 리소스 조정, ML 실행 등 복합 업무 자동화 가능
  • 실무 적용 사례
    • HR 자동화: 휴가 신청 시 자동 기록·조정·캘린더 반영
    • 개발 지원: 코드 생성, 검토, 테스트 자동화 (Copilot → Dev Agent)
    • IT 운영: 인프라 모니터링, SLA 보장, 에너지 사용 최적화
  • 기술 발전 방향
    • 목표 기반 프로그래밍(goal-based programming): 상충되는 목표 간 균형 조정
    • 휴리스틱(heuristic) 통합: 규범적 판단 및 안전성 고려 (예: AI의 우선순위 필터링)
    • 스스로 API 생성 및 등록: AGI로의 진화 경로에서 중요한 전환점
  • 과제 및 제한점
    • API의 탐색성/적응성 한계, 문서화 부족
    • 보안 통제: 권한 세분화, 인증 절차 설계 필요
    • 변화관리 및 조직 문화 수용성 부족
  • 보안 및 윤리 고려
    • 에이전트의 자율성 강화에 따라 인증 절차, 실행 권한 제한, 감사 로그 등의 보안 통제 중요
    • 강화학습 기반 결정이 사용자 가치와 충돌하지 않도록 인간 피드백 기반 RLHF 적용 필수
  • 결론
    • 에이전틱 AI는 단순 응답형 챗봇을 넘어 자율적 사고-행동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진화
    • 강화학습, 도구통합, 추론 프레임워크와 결합된 에이전트는 업무자동화의 핵심 기술로 부상
    • 조직은 역할과 한계를 명확히 설정하고, 적절한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신뢰 가능한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도입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