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IT/Issue on IT&Security

인증해제공격 위협에 무방비한 와이파이 환경의 보안 문제

Kant Jo 2025. 4. 17. 13:33

'인증해제공격'에 '와이파이' 무방비....‘비상’ - 애플경제

 

'인증해제공격'에 '와이파이' 무방비....‘비상’ - 애플경제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사이버공격에 대한 보안 기술도 발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와이파이’ 네트워크는 여전히 가장 취약한 사각지대에 노출된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카페나 공공기

www.apple-economy.com

 

  • 인증해제공격 개요
    • 인증해제공격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인증 프레임을 위조해 사용자 장치를 네트워크에서 강제로 분리시키는 공격 방식
    • DoS(서비스 거부) 공격의 일종으로, 장치의 지속적 연결을 방해해 운영 마비 유도
    • Wi-Fi의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을 악용해 공격 수행
  • 주요 취약 지점
    • 대다수 무선 네트워크가 관리 프레임 보호(MFP, Management Frame Protection)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음
    • Wi-Fi 프로토콜의 기본 설계상 인증 프레임 위조에 대한 방어 메커니즘 미비
    • 공공시설, 의료기관, 생산설비 등 다중 환경에서 무방비 상태로 노출
  • 공격 방식 및 피해 사례
    • 해커가 위조된 인증해제 프레임을 전송해 장치를 Wi-Fi에서 강제로 분리
    • 불법 액세스 포인트 설치 및 재밍(jamming) 공격으로 네트워크 운영 중단
    • 의료정보 유출, 자동화 설비 마비, 전력망·공공 인프라 공격으로 확대 가능성
    • 볼트 타이푼(Volt Typhoon), 솔트 타이푼(Salt Typhoon) 등 중국 연계 사이버 그룹이 미국 통신·에너지 인프라를 대상 공격 수행
  • 방어 및 대응 전략
    • 관리 프레임 보호(MFP) 기능을 활성화해 인증 프레임 위조 방지
    • 2단계 인증(MFA) 유지 및 디바이스 수준의 엔드포인트 보안 강화
    • 네트워크 세분화(Segmentation)로 봇넷 확산 차단 및 공격 반경 축소
    • 암호화되지 않은 무선 프로토콜 차단 및 무단 액세스 포인트 탐지 강화
    • 동적 보안 조치 적용: 실시간 이상 탐지, 정기적인 보안 감사, 위협기반 접근 정책 운영
  • 결론
    • 인증해제공격은 구조적 Wi-Fi 프로토콜의 한계를 악용한 치명적 DoS 수단으로, 국내 대부분 환경이 무방비 상태임
    • 공공 및 산업 인프라 전반에 대한 정기 보안 점검 및 대응 체계 강화 필요
    • MFA, 세분화된 네트워크, 보안 장비의 정책 고도화 등을 통해 방어적 대응에서 능동적 탐지·차단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